Los contenidos teóricos de la asignatura se impartirán utilizando diferentes topics y materiales audiovisuales como guías de enseñanza para ampliar el conocimiento del vocabulario y la estructura gramatical. Serán los siguientes:
1 소문과 뉴스
2 통신과 소통
3 남자와 여자
4 개인과 공동체
5 취업과 직장
6 사고와 처리
7 가족과 사회
8 환경 오염과 환경 보호
9 과거와 현재
Temarios complementarios
1. 언어와 생활 (-냐 하다, -(으)므로, 만 해도)
- 속담: 말이 씨가 된다,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, 입이 비뚤어져도 말은 바로 하랬다.
- 사자성어: 개과천선, 과대망상, 구사일생
2. 현대인과 건강 (-기(가) 일쑤이다, -지, -든지 -든지)
- 속담: 병 주고 약 준다, 입에 쓴 약이 병에는 좋다, 모르면 약이요 아는 게 병이다.
- 사자성어: 과유불급, 다다익선, 일거양득
3. 역사와 인물 (-기(가) 이를 데 없다, -(으)랴-(으)랴, -(으)ㅁ으로써)
- 속담: 공든 탑이 무너지랴,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,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
- 사자성어: 노심초사, 동문서답, 배은망덕
4. 과학과 기술 (-ㄴ/는다고 하더라도, -아/어 내다, -게끔)
- 속담: 세월이 약이다, 가는 날이 장날이다,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.
- 사자성어: 새옹지마, 우왕좌왕, 이열치열
5. 현대 사회와 개인 (-ㄴ/는다기 보다, -(으)ㄹ뿐더라, -자)
- 속담: 가재는 게 편이다,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,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.
- 사자성어: 이심전심, 일편단심, 칠전팔기
6. 문화와 상징 ((으)ㄹ 정도, -(으)면 몰라도, -(으)ㄴ 나머지)
- 속담: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,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, 서당 개 삼 년에 풍월을 읊는다.
- 사자성어: 자포자기, 자화자찬, 작심삼일
7. 자연과 환경 ((이)야 말로, -기 나름이다, (이)나마)
- 속담: 산 넘어 산이다, 금강산도 식후경이다,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.
- 사자성어: 적반하장, 주객전도, 진퇴양난
8. 매체와 사회 (-아/어 대다, -(으)려야, -다시피 하다)
- 속담: 등잔 밑이 어둡다, 꿩 구워 먹은 소식이다,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.
- 사자성어: 타산지석, 환골탈태, 호시탐탐
9. 경제와 소비 생활 (-(으)ㄴ/는 법이다, -ㄴ/는 답시고, -다가도)
- 속담: 싼 것이 비지떡이다,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이다, 외상이면 소도 잡아먹는다.
- 사자성어: 청출어람, 주경야독, 죽마고우
10. 예술과 문화 (-(으)/는 이상, -(으)리라, -(으)오)
- 속담: 수박 겉 핥기이다, 꿈보다 해몽이 좋다, 나무를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.
- 사자성어: 천방지축, 경거망동, 천고마비